1. 소화불량은 소화기관의 기능장애와 관련해서 주로 상복부 중앙에 소화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2. 기능성 소화불량 혹은 신경성 위염이라 불리며, 아무런 기질적인 원인 없이 상복부에 불쾌감이 나타나거나 통증이 반복하여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질환
위와 장 미들존 조직의 손상으로 인한 담적병 말고도 다른 위장병 요소가 있다. 그리고 서양 의학에서 주로 말하는 위장병인 염증과 궤양, 헬리코박터균, 폴립이나 선종, 위축성 병변이나 장상피화생 등 문제가 아닌데도 소화가 안 되는 또 다른 위장병도 많다. 이러한 경우서양의학에서는 기능성, 과민성, 역류성, 신경성, 자율신경이나 호르몬 분비 이상 등과 같은 원인을 제시하지만 확실한 치료법은 아직 없다. 소화기 증상으로 1차 및 3차 의료 기관을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국내의 한 연구에 따르면 기능성 소화 불량증은 약 40%, 과민성 장 증후군은 약 28%에서 진단되었다고 보고할 정도로 위장 질환에서 이 영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 다수다. 물론 이 영역은 담적병과 겹치는 부분도 많지만 겹치지 않은 기능성 위장질환에 대해 한의학에서는 어떻게 설명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한의학의 가장 큰 특징은 위장의 문제를 몸 전체에서 찾는다는 점이다. 위장 문제라 해서 서양 의학처럼 위장 내에서만 문제 원인을 찾는 것이 아니라 몸 전체 시스템 차원에서 풀어나간다. 이는 위장병이 위장만의 이유가 아니라 다른 장기에 의해서도 유발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원리는 모든 소화 상태는 위장 혼자서 하는 것이 아니라 간장과 심장과 콩팥 같은 이웃 장기의 영향을 받아 상호 관계를 이루면서 수행된다는 이론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위장의 이웃, 간장이 위장을 돕기도 하고 해치기도 한다.
우선, 간장은 위산과 담즙 같은 소화액 분비에 깊이 관여한다. 간장 기능이 피로하고 저하되면 위산과 담즙 분비의 저하로 소화가 되지 않고, 또 분노나 과음 등으로 항진(亢進)되면 위산과 담즙 분비 과잉으로 속이 쓰리면서 점막의 손상과 담즙 역류 현상이 발생한다. 그리고 토득목이달(土得木而達. 土는 위장, 木은 간장을 말함), 즉 위장(土)은 간장(木)의 기운을 득해야 소화운동(조달)이 된다는 한의학의 이론처럼 간장의 도움 없이는 소화가 안 된다. 대개 우리가 먹은 음식은 위와 장에서 소화된다. 그리고 소화된 후 배설 물질 외의 모든 영양 물질은 문맥이라는 혈관을 통해 간으로 유입된다. 그러나 분노나 억울함 같은 스트레스로 간장의 담즙분비, 대사기능, 영양공급기능, 각종 호르몬분비기능 등이 응결된다. 간장 기능이 잘 소통되야 먹은 음식 등이 간장으로 원활히 유입되서 속이 편하게 되는데, 영양물들이 간장으로 빠져나가지 않으니 위장 속은 더부룩해지고 가스로 인한 복부 팽만, 심하면 역류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주로 일이 잘 풀리지 않고 답답한 마음일 때와 스트레스를 받으면 간장이 잘 울체된다.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위장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간장의 울체된 기를 풀어주는 소간법(疎肝法)을 적용해야 한다.
심장은 엄마처럼 위장을 돕는다.
심장은 어미가 자식에게 젖을 주듯이 위장에 좋은 영양과 혈액 공급을 하면서 위장을 돕는다. 그러나 지나친 스트레스로 심장 기능이 약해지면 위장에 혈액 공급을 하지 못해 소화 능력과 방어 능력, 회복 능력이 떨어져 궤양을 방조하거나 진행을 막지 못한다. 또 긴장하거나 극도로 예민한 상태에 빠지면 심장이 위축되면서 위장에 혈액 공급을 제대로 못하기 때문에 위장도 빈혈에 빠져 소화력을 잃게 된다. 주로 신경을 쓰면 소화가 안 되고, 평소 가슴이 잘 놀래거나 두근거리고. 손발이 차고 저리면서 기립성 현훈과 수면 장애가 나타나는 사람에게서 이 스트레스로 인한 위장병이 잘 생긴다. 이런 경우에는 심장을 강화시키는 장담보심(壯膽補心)이나 귀비온담탕(歸脾溫膽湯) 과 같은 약을 처방하여 강화된 심장을 토대로 위장을 돕도록 한다.
엔진 오일 같은 점액을 공급해주는 콩팥
콩팥은 윤활유와 같은 좋은 진액을 저장하여 몸 각처에 공급하는데 특히 위장에 뮤신(mucin)이라는 점막 보호 물질을 공급한다. 이 점액 물질은 위장으로 유입되는 각종 독성 물질과 과도한 위산 공격으로부터 위장을 보호하는데, 지나친 과로나 스트레스, 그리고 선천적으로 콩팥이 약하면 이 점액이 충분하게 위장으로 공급되지 않아 위축성 위염이 잘 발생하고, 위산 공격에 손상을 받아 궤양 병변이 잘 생긴다. 그리고 콩팥은 잘 알려진 것처럼 정력, 즉 양기(陽氣)가 소장되어 있는 곳으로서 이곳의 양기는 우리의 정력을 주도하기도 하고 콩팥 주변에 있는 장과 여성의 경우 자궁을 따뜻하게 해준다. 장의 경우를 살펴보면 장은 본래 수분을 관리하는 곳이라 냉(冷)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장 앓이를 자주하게 되는데 이 문제를 콩팥이 보완해준다. 그래서 콩팥의 양기가 약한 사람은 장이 차가워져서 설사나 과민성 장 질환을 잘 앓게 된다. 때문에 신장의 양기를 높여주고, 진액을 충족시키는 보신법(補腎法)을 적용하여 치료하도록 해야 한다.
장에 조성된 숙변의 더러운 가스, 폐가 처리
폐는 알다시피 호흡을 주도하면서 대기 중의 좋은 산소를 우리 몸에 공급하고 체내의 이산화탄소와 같은 노폐물을 배출하여 몸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일을 한다. 그래서 한의학에서는 폐의 기능을 숙강(肅降) 기능이라고 표현하는데 이것은 몸의 노폐물이나 나쁜 것을 체외로 숙청(肅淸)하는 기능을 폐가 가지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대개 호흡을 통해서만 정화를 한다고 생각하지만 대장의 배설 기능도 폐가 주도하면서 장내 숙변 독소를 정화한다. (잘 알려지진 않았지만 한의학에서는 폐와 대장은 상생 관계를 유지하면서 대변을 통해 암모니아와 같은 유해 가스를 배출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즉 폐가 튼튼해야 장의 배설 기능이 원활해진다는 것을 뜻한다. 운동을 해서 폐활량을 키우지 않으면 변비가 잘 생기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위장 자체가 약해져 있는 경우
위장의 근력이 약해 소화 연동 운동을 제대로 못하거나, 위장에 혈액 공급이나 진액 물질이 충분치 않아 위장의 방어 능력이 약하거나, 또는 위장의 양 에너지가 부족하여 위장이 냉한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현상은 과로를 햇다거나 타 장기에 의해서 발생되기도 하지만 선천적으로 약한 상태를 지니고 태어나는 경우도 있다.
기능성 위장 질환에 대한 한의학 치료를 정리해보면 간장의 응결된 기운을 소통시켜 위장의 소화 운동과 담즙의 분비를 촉진하고, 간화(肝火)를 억제하여 정상적인 위산 분비를 유도한다. 그리고 심장을 강화시켜 위장으로 유입되는 혈액 공급의 활성화와 스트레스에 강하게 대항할 수 있도록 하여 위장을 튼튼하게 만든다. 그리고 콩팥의 진액이 위장 점막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위장의 점막을 윤택하게 보호하며, 장을 따뜻하게 변화시키는 동시에 폐의 기운을 북돋아 대장의 배설 기능 또한 강화시키고 위장의 약한 부분을 찾아 보강하는 보법을 적용한다.
이와 같이 위장병은 담적 치료와 더불어 위장병 관련 요소 등을 모두 해결하는 치료법들이 고려되어야 하고, 이를 통해 원인을 몰라 치료가 불가한 위장의 각종 문제도 비로소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소화 불량을 호소하는 환자들 중 60~70%가 기질적 원인이 밝혀지지 않는 실태를 고려할 때 이런 이론과 치료법은 보다 근본적인 위장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점막에 심한 궤양과 염증성 병변이 진행되거나 헬리코박터균이나 폴립 병변에 대해서는 서양 의학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혹자는 양약과 한약을 같이 쓰면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느냐고 우려하는데 동서의학 협력 치료를 임상 적용한 결과, 치료의 시너지를 이루면서 훨씬 근본적이고 완성도가 높은 치료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즉 점막의 병변은 양방 내과에서, 위장 미들 존 문제와 타 장부와의 관계에서 비롯되는 기능적 문제에 대해서는 한방 내과가 분담함으로써 치료의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